조회 대상 종목과 여타 종목들의 상대적 가격을 변수로 한 시계열 모형에 의해 조회 대상 종목과 유사한 주가 흐름을 나타냈던 종목을 표출합니다.
수치가 0에 가까울수록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며, 수치가 클수록 상이한 패턴을 지닙니다.
VWAP
거래량 가중평균가격(Volume Weighted Average Price)의 약어로 조회 대상 종목의 거래일에 발생한 전체 거래대금을 전체 거래량으로 나눈 가격을 의미합니다.
투자성과 평가를 위한 벤치마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VWAP보다 낮은 가격에 매수하거나 높은 가격에 매도하였다면 시장 평균 대비 우수하다고 판단)
최우선매수(매도)호가 상승(하락) 비율
특정 종목에 대해 하루동안 최우선 매수(매도)호가의 상승(하락) 건수를 전체 매수(매도)호가 건수로 나눈 비율(%)입니다.
최우선 매수(매도)호가의 상승(하락) 비율이 높을수록 투자자들이 매수(매도)하는 방향으로 적극적으로 주문을 제출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최우선 매수(매도)호가 상승(하락) 비율이 높을수록 미래의 가격이 상승(하락)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체결가 상향(하향) 비율
특정 종목에 대해 하루동안 발생한 직전 가격 대비 체결가 상승(하락) 건수를 전체 체결 건수로 나눈 비율(%)입니다.
직전 가격 대비 체결가 상승(하락) 비율이 높을수록 투자자들이 매수(매도)하는 방향으로 거래를 체결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상승(하락) 비율이 높을수록 미래의 가격이 상승(하락)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최종최우선매도(매수)호가 상향(하향) 비율
해당 업종의 구성 종목 중 정규시간에 제출된 최종 최우선 매도(매수)호가가 직전 매도(매수)호가에 비해 상승(하락)한 종목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최우선 매도(매수) 호가는 매도(매수)자들 중에서 가장 싸게(비싸게) 팔려는 의도가 반영된 가격이므로, 이 가격이 상승(하락)한다는 것은 매도(매수)자들이 주식 가치를 높게(낮게) 보고 매도(매수)호가를 올리고(내리고) 있음을 의미하며, 향후 가격이 올라갈(내려갈)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각 종목의 최종 호가를 사용하여 다음 날의 가격변화를 예측할 수 있으며, 시장의 전체 종목을 대상으로 비율을 계산하여 시장 방향을 예측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종 최우선 매도(매수)호가 상승(하락) 비율이 크면 시장수익률이 상승(하락)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거래정보
거래빈도·거래규모
특정 종목에 대해 정규시장 접속매매의 거래횟수(체결건수)입니다.
거래빈도가 많을수록 유동성이 큼을 의미합니다.
특정 종목에 대해 정규시장 접속매매의 거래량을 거래횟수로 나눈 값(단위:주)입니다.
평균거래규모가 높을수록 유동성이 큼을 의미합니다.
수정 거래회전율
특정 종목에 대해 하루동안의 거래회전율에 해당 거래일의 주가가 상승했을 경우 (+1)의 값을, 하락했을 경우 (-1)의 값을 곱하여 구합니다.
수정 거래회전율이 큰 양의 값을 가지면 투자심리가 낙관적이며, 큰 음의 값을 가지면 비관적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거래대금·시가총액비율
특정 종목에 대해 지난 1년간 월평균 거래대금을 시가총액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주식의 시가총액에 비하여 얼마나 거래가 많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 비율은 주가수익률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져 이 비율이 더 높은 주식일수록 낮은 주가수익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매수·매도불균형
(거래빈도 기준) 해당 업종의 모든 종목에 대해 하루동안의 매수자주도거래횟수를 매도자주도거래횟수로 나눈 값입니다.
(거래량 기준) 해당 업종의 모든 종목에 대해 하루동안의 매수자주도거래량을 매도자주도거래량으로 나눈 값입니다.
매수(도)자 호가가 제출되어 거래가 성사된 것일 경우 매수(도)자주도거래로 구분하며, 값이 1보다 클수록 시장이 매수방향임을 나타내고 1보다 작을수록 시장이 매도방향임을 나타냅니다.
추세정보
모멘텀
모멘텀 전략(과거에 높은 성과를 기록한 종목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는 미래에도 높은 성과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는 전략)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단기·장기반전
(단기반전)특정 종목에 대해 직전 2개월의 월간수익률(%) 및 반전여부를 나타낸다.
(장기반전)특정 종목에 대해 과거 60개월 전부터 13개월 전까지의 보유기간수익률과 직전 12개월간 보유기간수익률(%) 및 반전여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반전 전략(과거에 상대적으로 낮은(높은) 성과를 기록한 종목들의 포트폴리오는 다음달에 높은(낮은) 성과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는 전략)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맥클레란 오실레이터(McClellan Oscillator, MO)
해당 업종의 모든 종목에 대해 주가가 상승한 종목의 개수에서 하락한 종목의 개수를 차감한 값의 19일 지수이동평균을 구하고 다시 주가가 상승한 종목의 개수에서 하락한 종목의 개수를 차감한 값의 39일 지수이동평균을 차감한 값입니다.
맥클레란 오실레이터가 양의 값이면 시장이 상승추세에 있으며, 맥클레란 오실레이터가 상승하면 해당 업종의 종목을 매수하는 신호로 해석합니다. 반대로 맥클레란 오실레이터가 음의 값이면 시장이 하락추세이지만, 음의 값이 아주 낮을 때에는 과매도 상태이므로 해당 업종의 종목이 상승 반전할 것으로 예상합니다.